본문 바로가기

다이어트

다이어트가 실패하는 이유

반응형

잘못된 다이어트 상식

 

다이어트 방법을 우리는 인터넷에서 찾아보곤 합니다. 하지만 인터넷에서의 정보가 다소 부정확하거나 잘못된 경우도 있습니다. 체중 감량을 위해서 우리가 알고 있는 잘못된 정보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다이어트를 위해서 아침을 먹어야 한다.

 

 

밤에 잠을 자고 나면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아침 식사를 해야 한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배가 고프지 않아도 아침을 챙겨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아침 식사를 먹는 것이 체중 감량을 위한 필수적인 사항은 아닙니다. 사실 연구에 따르면 아침을 먹거나 먹지 않는 것이 체중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오히려 스킵하는 게 체중 감량에 약간 더 유리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아침을 거르는 사람들이 아침을 챙겨 먹는 사람들보다 점심으로 144 칼로리를 더 섭취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도 있습니다.

 

또한 하루 총 칼로리 섭취량에서도 약 408칼로리 정도가 낮게 섭취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보통 아침을 거르게 되면 간헐적 단식의 한 형태인 경우가 될 가능성이 잇으며, 이런 이유에서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아침 식사를 무조건으로 체중 조절이나 감량에 좋다는 생각은 National Weight Control Registry 회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부분적으로 기인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물론 아침을 거르는 게 다 좋은 것은 아닙니다. 아침을 먹음으로써의 장점도 있지만 굳이 배가 고프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억지로 아침을 먹을 필요는 없는 듯 합니다. 또한 아침을 먹을 경우 단백질이 풍부한 아침 식단을 통해서 포만감을 높혀 점심에 과식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다이어트 중 체중을 재지마라.

 

 

체중은 여러 요인으로 매일 변동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에서 다이어트를 할 경우 매일 체중을 측정하는 게 안 좋을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다이어트를 한다면,  이는 잘못된 상식일 수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 과체중 또는 비만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6개월간의 연구에서 매일 체중을 측정하는 사람들의 체중이 평균적으로 6.6% 감량했으며, 보다 적은 카로리를 섭취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과체중이 있는 40명의 체중 습관을 조사한 연구자들은 1개월 이상 휴식을 취한 사람들이 체중 증가의 위험이 더 크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자주 자기의 체중을 측정하는 습관이 자기관리에 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이어트 효과와 다이어트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물론 일부 연구에서는 매일 체중을 측정하는 것이 섭식장애와 같은 안 좋은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체중이 매일 변동할 수 있다는 것 특히, 호르몬 변화, 체액 균형 및 배변 빈도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음을 명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체중을 갑자기 빼지 마라. 서서히 빼라!!

 

일반적으로 체중을 천천히 감량하는 것이 나중에 요요현상이나 체중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체중을 천천히 빼는 게 나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체중을 빨리 빼는 것이 요요현상의 위험을 줄인다고 합니다. 또한 빨리 체중을 줄이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체중 감량에 더 도움이 됩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첫 달에 체중을 빠르게 감량한 사람들이 천천히 체중 감량을 한 사람보다 18개월 내로 체중 10% 감량할 가능성이 5배정도 높았다고 합니다. 물론 초기에 극도로 낮은 수준의 칼로리 섭취는 급격한 체중감소를 유발하지만 이를 유지하는 것은 사실 불가능합니다. 

 

4. 유산소 운동을 하라.

 

 

유산소 운동이 체중 감량에 이상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유산소 운동은 체중 감량에 만능은 아닙니다. 심혈관 운동에 대한 체중 감량의 정도가 개인마다 다릅니다. 어떤 사람은 유산소 운동을 통해 체중 감량이 잘 되고 어떤 이들은 도리어 체중을 증가시키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사실 체중 감량을 위해서는 근육량을 유지하면서 근력운동과 유산소운동을 결합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적입니다. 

 

 

'다이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나나 효능 영양성분  (0) 2022.09.26
고단백 간식  (0) 2022.09.22